건축가 유현준 -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 - 별명 셜록현준 - tvN <알쓸신잡> 출연 - <공간이 만든 공간> 등 저
사람과 공간은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다
Q : 코로나19로 사회 전반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도시 계획이나 건축에서도, 이제 전염병은 변수가 아닌 상수로 고려해야 한다는 시각이 많습니다.
A : 도시 디자인이라는 것은 사실 크게 변화들이 있었는데 그 각각의 변화들은 다 전염병이 큰 역할을 했어요 예를 들어서 초창기에 도시가 만들어진 것도 사실은 메소포타미아의 지역에서 만들어진 이유가 전염병에 잘 견딜 수 있을 만한 환경을 찾다 보니까 자연발생적으로 건조한 기후대에 만들어진 그런 이유가 있고요 파리가 하수도를 만든 것도 전염병의 적응하기 위해서 장티푸스나 콜레라 같은 수행성 전염병을 견디기 위해서 만든 것도 있고 어떻게 보면 지금 21세기 사회가 항공망으로 너무 밀접하게 다른 나라들 하고 연관이 되어 있는 상태다 보니까 지금의 도시는 어떻게보면 다른 어느 때보다도 전염병의 취약한 그런 컨디션인 거죠 다른 전염병이 그 비행기 타고 날아올 수 있기 때문에 그거에 맞는 도시 공간구조로 다시 바꿔야 할 때가 된 거죠 중앙집중적인 그런 도시 공간 한쪽에만 밀도가 높은 거에서 다획구조로 바뀔수록 좋을 것 같고요 지금은 우리가 텔레커뮤니케이션이 발달했기 때문에 그 적정한 밸런스를 맞추는 쪽으로 갈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Q : 사람이 나이가 들어가는것처럼 도시도 시간이 지날수록 노후됩니다. 도시가 오래되어 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A : 오래된 도시는 일단 그 시간에 흔적들이 남아 있기 때문에 스토리가 되게 많죠. 공간이 강북에 우리가 골목길 같은데 가서 보더라도 꼬불꼬불한 골목길은 자연 발생적으로 만들어진 거기 때문에 그 자연 발생적으로 어떻게 보면 100년 전에 혹은 200년 전에 사람들이 사용하면서 만들어진 골목길이 지금 현대의 삶에도 영향을 미치는 거니까 그게 그 공간이란 골목길에 모양이라는 걸 통해서 100년 전 사람과 우리는 서로 대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 것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스토리가 풍부해지는 오래된 도시일수록 그렇게 많아지는 거 같고요
Q : 공공청사가 시민에게 열린 공간으로서 다가가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이 개선되어야 할까요?
A : 우리나라가 아무래도 시민사회의 시간이 짧아서가 아닐까 그런 생각은 들어요 우리는 근대화를 되게 압축적으로 했기 때문에 빠르게 진행되어 왔고 근대사회를 우리가 접한 것은 거의 일제강점기 때부터 접한 거기 때문에 그때 들어왔던 강압적인 어떤 행정부의 모습이라던지 그게 아직까지도 그대로 남아 있는 게 아닌가 지금은 되게 많이 행정절차들도 많이 민주화되고 했지만 우리한텐 아직까지도 불편하게 느껴지는 공간은 맞죠 그래서 그리고 그 관습들이 사라지는 데는 꽤 시간이 걸리지 않을까 싶어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구청 건물들뿐만 아니고 어떤 법원이라든지 시청 건물이나 이런 것들 대부분 다 보면 좌우대칭으로 되게 권위적인 모습을 따고 있고 높은 계단을 통해서 올라가게끔 되어 있잖아요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의 권력을 더 높게 만드는 장치이기 때문에 건축적으로 그렇거든요 그런 것들을 좀 간소화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어요
Q : 최근 캠코는 원도심에 위치한 노후청사를 복합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도시와 해당 지역주민에게 더욱 도움이 되려면 어떤 점들을 세심하게 고려해야 할까요?
A : 옛날에 있었던 흔적들을 건드리는 거기 때문에 그것들을 일부 보존을 하면서 새로운 건물을 지으면 좋겠다 생각은 들어요 만약에 거기에 무슨 골목길 같은게 있었던 지역을 재건축을 한다 그럼 골목길의 모양만 유지해서 건물을 배치한다든지 그것도 전체를 다 유지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왜냐하면 과거의 흔적에서 중요한 것은 골목길의 모양이 더 중요하거든요 거기는 건물보다는 그니까 모양을 일부 보존해서 짓는다던지 혹은 건물이 좀 컸는데 그거를 짓는다 다시 짓는다 그러면 일면을 일부 보존을 한다던지 우리나라에는 그런 사례들이 있잖아요 서울시립미술관 옛날 건물 리모델링 했는데도 그 안에 현대식으로 다 리모델링 했지만 일면은 그대로 다 보존을 하는 경우도 있고 우리가 꼭 보존해야 되는 부분이 있다면 그 흔적들을 좀 남기면서 하면 훨씬 더 스토리가 있는 그러한 건축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Q : 코로나19로 지금 우리는 공간 안에 갇힌 삶을 살고 있는 것 같아요 한정된 공간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노하우가 있을까요?
A : 최근 들어서 이제 코로나블루라는 말이 있잖아요 코로나 때문에 우울한데 그 이유가 있는 거 같아요 공간적인 이유가 있는 거 같아요 그 이유는 내가 누리는 공간들이 사실 내 집은 작아도 카페도 가고 극장도 가고 심지어 해외여행도 가고 시간당으로 어떤 공간을 빌려서 나의 공간 확장해서 넓게 쓰고 있었는데 카페도 다 문 닫았고 앉지도 못하게 하고 해외여행 다 못 가고 하니까 내가 누릴 수 있는 공간이 사실은 엄청나게 줄어들었거든요 이럴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해결책은 좁은 공간을 넓게 쓰는 방법을 생각해 본다면 같은 공간이라고 하더라도 행동을 다르게 하면 다른 기억으로 느껴질 수가 있어요 우리가 마당이라고 하는 게 좁지만 그 공간이 되게 넓게 느껴지는 이유는 봄철에 꽃피고 여름에 비 내리고 가을에 낙엽 떨어지고 겨울에는 눈 내리고 하는 다양한 기억들이 있잖아요 같은 공간에 다른 행동들을 하는 것이 어쩌면 공간을 넓게 느껴지게 하는 방법일 수 있을 것 같고 안 가던 길을 산책 해본다든지 그런 것도 되게 좋은 방법일 것 같아요
Q : 마지막으로 도시를 살아가는 구성원들에게 전하고 싶은 당부의 말씀이 있다면요?
A : 2020년 한 해는 정말 누구나가 다 인생에 기억될 만큼 힘든 한 해였던 거 같아요 내년도에는 더 자신감있게 더 헤쳐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