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에 안정을,
기업에 활력을,
국가자산에 가치를
더하는 리딩플랫폼
제목 | 8회 우수상(중형) 창원지청 청사 | ||
---|---|---|---|
담당부서 | 공공개발기획처 | ||
등록일 | 2023-03-27 | 조회수 | 349 |
“우수한 외관 계획, 공간구성과 동선계획이 명쾌한 작품”
![]() 구청사 ![]() 신청사 사업배경산재기금청사의 연차적 전환 계획에 따라 ‘17년 창원지청 신축사업 확정 심사평공공업무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맥락의 특성을 고려하여 단정하지만 지루하지 않은 분절된 매스로 계획하였다. 테라코타와 화강석을 외장의 주요재료로 사용하였고, 창호의 적절한 비례와 수직루버 적용으로 잘 조율된 입면구성이 눈에 띈다. 작은 규모의 건물이기에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모두 담아내기 위해 효율적인 공간배치를 우선하였다. 진입로비의 높은 층고와 2층에 마련된 작은 오픈 테라스는 중복도가 가지는 답답한 실내환경의 단점을 보완하는 장치로 쓰이고 있다. 다만, 좌우로 긴 대지의 조건은 건물의 적절한 정면성을 만들어내는데 어려운 조건이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결과적으로 건물과 주차장, 진입동선을 풀어내는 배치계획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사업방향사회적 가치 제고녹지축과 열린 통경축을 연계하여 매스를 형성하고 기능에 의한 분절과 연결로 공공행정구역 내 청사와 청사 사이에서 도시적 맥락을 유지하였으며, 대지로의 접근 방향에 따라 입체적인 입면 시퀀스가 연속적으로 펼쳐짐에 따라 지역주민들에게 리듬감 있고 경쾌한 도시경관을 제공하였습니다. 공공건축의 품격 향상동측으로 비음산 조망을 건물 내부로 끌어들이고 지상 3층 높이로 주변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는 스카이라인 형성하였습니다. 평화와 화합을 나타내는 수평 매스와 투명성과 공정성을 나타내는 유리 매스로 상생·공정·화합의 장인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역할을 상징적인 파사드 형태에 담아내어 권위적인 청사의 모습을 혁신적으로 구현하였습니다. 시설계획의 적절성남측 전면 건물과 15미터 이격 배치하여 음영 피해를 최소화하고 주요 업무공간은 남향으로 배치하여 쾌적한 업무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지상 1층은 코어와 로비 등 커뮤니티 영역을 중심으로 대민업무와 별도 대관이 가능한 독립적인 대회의실을 배치하여 지역주민의 접근성을 높임과 동시에 공간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였습니다. 또한, 사계절이 아름다운 맞이마당, 휴식에 문화를 더한 어울림마당, 쾌적하고 조화로운 녹지공간을 모티브로 한 조경계획을 실현하였습니다. 접근성, 이용편의성 및 에너지절감공공 접근이 용이한 공용 코어와 직원용 코어를 분리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비상 시 피난 및 대피가 쉽도록 코어를 분산 배치하여 안전성을 확보하였습니다. 그리고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을 비롯한 모든 국민이 접근 및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설계하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Barrier Free)) 우수 등급을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지열 활용을 통한 에너지 절감 등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 녹색건축 우수등급,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1++등급을 획득하였습니다. 수상자 인터뷰수상소감하나의 청사를 위해 장소 물색, 토지 매입, 설계 등 건물을 짓는 수많은 노력과 정성들의 마침표를 제가 찍게 되어 참 기쁘고 같이 고민하고 노력해주신 지청장님, 과장님, 팀장님 및 동료들과 공사 관계자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이 사업만의 특징이 있다면?건물의 골격부터 내부 마감재의 소재 그리고 바닥의 단차까지 무엇보다 민원인과 직원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였으며 자연친화적인 외부 마감재(자연석, 테라솔리드)와 건물 내·외부 조경으로 인공미와 자연미가 조화되도록 시공하였습니다. 가장 어려웠던 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은?시공 시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는데 이를 위해 안전보건협의체(발주처·시공사·감리사)와 외부자문단을 구성하여 위험요소의 사전 발굴, 위험 공정 전 안전점검, 원칙에 맞는 시공 그리고 피드백을 통해 사고 없이 무사히 사업을 마무리하였습니다. |
|||
첨부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