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에 안정을,
기업에 활력을,
국가자산에 가치를
더하는 리딩플랫폼
국유재산관리기금을 재원으로 건축되는 공공청사의 건축 품질 향상과 우수사례 확산을 위하여, 2015년부터 국유재산관리기금으로 준공된 건물을 대상으로 '국유재산 건축상' 시상
경찰청
신안경찰서
한국자산관리공사
나라키움 익산통합청사
대법원
인천지법 부천지원 별관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 별관
국회사무처
국회소통관
대법원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국세청
마포세무서
외교부
주 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외교부
주이스라엘 대한민국 대사관
외교부
주UAE 대한민국 대사관
국유재산관리기금을 재원으로한 전년도 공용재산취득사업 완료사업(평가실익이 없는 토지, 관사 등의 매입은 제외)
총사업비 기준 총 3개 부문으로 구분
구 분 | 내 용 |
---|---|
대형부문 | 100억원 이상 |
중ㆍ소형부문 | 100억원 미만 |
정성평가(70점)와 정량평가(30점) 2개 분야로 구분하여 종합적으로 평가
평가분야 | 평가항목 | 평가 주안점(세부평가지표) | 비중 |
---|---|---|---|
정성평가 (70) | ① 필수항목 | ① 사회적가치 제고 | 20 |
② 공공건축의 품격 향상 | 20 | ||
③ 시설계획의 적절성 | 15 | ||
② 선택항목 (택1이상) |
① 접근성 및 이용편의성 ② 가변성 및 증축 가능성 ③ 에너지절감 및 유지관리의 효율성 |
15 | |
정량평가 (30) | ① 예산집행 및 시설계획 적절성(20) |
· 예산편성 및 배분 적절성 | 7 |
· 예산절감 방안의 적절성 | 7 | ||
· 토지활용의 합리성 | 6 | ||
② 사업관리의 합리성(10) |
· 공사기간의 적절성 | 4 | |
· 사업현장의 안정성 | 3 | ||
· 시공기술 선진화 | 3 |
내·외부 전문가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서류, 현장 및 최종심사 등 총 3단계 심사
(최종심사 고득점 순으로 수상작 결정)
심사단계 | 주요내용 |
---|---|
서류심사 | 정성평가(70점)와 정량평가(30점)를 통해 현장심사 후보작 선정 |
현장심사 | 현장실사 및 부처 담당자 인터뷰 등 진행 |
최종심사 | 부처의 프레젠테이션 발표 후 심사위원 전원 합의로 수상작 확정 |
대상 1건, 최우수상 2건(부문별 1건), 우수상 6건(부문별 3건) 총 9건 선정
수상작 수 | 시상내역 | ||||||
---|---|---|---|---|---|---|---|
부문 | 대형 | 중ㆍ소형 | 부처 담당자 | 설계사 | 공통 | ||
기재부 장관표창 |
상패 | 상금 | |||||
대상 | 1건 (상금 300만원) | O | O | 300만원 | 상패 | 기념동판 | |
최우수상 | 1건 | 1건 | O | O | 200만원 | ||
우수상 | 3건 | 3건 | X | O | 100만원 |
※ 설계사에도 상패를 수여하고, 기념동판에는 건축물명·설계사·시공사 기재
7명의 내·외부 전문가로 심사위원회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