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에 안정을,
기업에 활력을,
국가자산에 가치를
더하는 리딩플랫폼
제목 | 8회 우수상 나라키움 대구통합청사 | ||
---|---|---|---|
담당부서 | 공공개발기획처 | ||
등록일 | 2023-03-27 | 조회수 | 836 |
“적절한 분리와 통합을 통해 공간들의 질을 높인 통합청사의 좋은 사례” 사업배경노후화된 2개 국가기관(대구출입국관리사무소,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을 통합청사로 신축 심사평대구통합청사는 대구출입국관리소,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2개의 청사를 통합 이전한 시설로 두 청사 기능의 적절한 분리와 함께 활용 가능한 시설의 공유로 공간의 효율을 높인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평가되는 작품이다. 통합민원실 등 대민 공간이 있는 출입국관리소를 출입이 용이하도록 사거리 코너에 위치시키고 식약청의 입구는 별도로 분리배치하고 있다. 각 기관의 업무공간은 효율적으로 배치하면서 함께 활용할 수 있는 휴게공간, 식당, 헬스장 등에 충분한 공간을 할애할 수 있었다. 특히 강당은 2개 기관 강당의 면적을 더해 활용도 높은 대강당으로 계획하여 통합을 통한 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사업방향사회적 가치 제고2개 기관 통합 이전으로 지역 활성화 기여 및 식약청 이전에 따라 본 청사 인근에 위치한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입주기관의 원활한 연구개발·사업화 지원에 기여하였습니다. 공공건축의 품격 향상통합청사가 지니는 이미지를 확장시켜 주변 맥락(혁시도시 내 타 기관 등)과의 통합·화합 이미지를 이끌어내는 조형·입면을 디자인하였습니다. 주변맥락의 연속성과 지역주민을 맞이하는 열린청사의 상징성을 입면 조형적 형태로 표현하였고, 건축선으로부터 충분한 건물 이격을 통해 담장 없는 녹음이 어우리진 열린 스트릿 광장을 조성하여 지역 주민에게 휴식공간 제공하였습니다. 시설계획의 적절성서로 다른 성격의 2개 기관 통합청사 구현을 위해 기능의 분리와 통합을 중점으로 계획하였습니다. 분리 측면에서는 보안을 고려하여 식약청과 출입국사무소 개별 로비·코어 계획으로 출입동선을 명확히 분리 및 기관별 공간 집약 배치하였습니다. 그리고 통합 측면에서는 층별 중앙부 통합 휴게공간/식당/헬스장 배치 및 2개 기관 강당 면적을 통합하여 대강당으로 계획하였습니다. 접근성, 이용편의성 및 에너지절감BF 인증 등으로 장애인·노약자 이용 편의성 제고 및 에너지효율등급 1+등급, 녹색건축인증 우수등급, 초고속정보통신건물 2등급 획득하였습니다. 수상자 인터뷰수상소감사업계획 단계부터 설계, 시공 단계를 담당하셨던 수많은 직원분들, 관계부처, 협력업체 담당자분들이 모두 함께 이루어낸 성과물입니다. 모든 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이 사업만의 특징이 있다면?서로 다른 성격의 2개 기관(대구출입국관리사무소,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통합청사 구현을 위해 기능의 분리와 통합을 중점으로 계획하였습니다. 가장 어려웠던 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은?기관별 보안을 철저히 구분하되, 공용공간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선계획에서 애로사항이 있었으나 설계사무소 및 수요기관과의 끊임없는 협의를 통해 최상의 계획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
|||
첨부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