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민에 안정을,
기업에 활력을,
국가자산에 가치를
더하는 리딩플랫폼

사이트맵
인스타그램으로 이동 블로그로 이동 웹진으로 이동 유튜브 아이콘

보도자료

보도자료 게시판 내용 보기

공공누리 제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금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유형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캠코, 새출발기금 릴레이 현장간담회 개최 상세보기
제목 캠코, 새출발기금 릴레이 현장간담회 개최
담당부서 새출발인수운영처
등록일 2025-07-18 조회수 61

캠코, 새출발기금 릴레이 현장간담회 개최

- 총 3차례 현장간담회를 통해 새출발기금 상담직원 및 채무조정 이용고객 애로사항ㆍ건의사항 청취 및 제도개선 반영 추진 -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정정훈)는 오는 7월 22일(화) 새출발기금 상담 직원 현장간담회를 시작으로 총 3차례에 걸쳐 새출발기금 관련 현장 목소리 청취를 위한 릴레이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는 7월 17일(목) 금융위원회의 ?소상공인 금융애로사항 현장소통ㆍ해결 간담회?에 이은 주제별 릴레이 간담회의 일환으로, 연체 또는 채무조정 경험이 있거나, 연체 위기에 처한 소상공인ㆍ자영업자의 채무조정과 관련한 애로사항을 점검하기 위한 목적이다.

 

먼저 7월 22일(화) 캠코CS(대전광역시 서구 소재)에서 새출발기금 및 신용 회복위원회 콜센터 상담직원(10여명)과 함께 금융위원회ㆍ캠코ㆍ신복위 관계자가 참석하는 새출발기금 상담직원 현장간담회를 개최한다.

 

부채문제로 어려움을 겪으신 분들의 고충과 어려움을 가장 생생하고 정확하게 알고 있는 콜센터 상담직원과의 간담회를 통해, 새출발기금을 이용하고자 하는 분들의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개선 사항을 논의할 예정이다.

다음으로 7월 25일(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전북지역본부(전주시 완산구 소재)에서 채무조정 후 취업 또는 재창업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상공인ㆍ자영업자(10여명)*과 함께 금융위원회ㆍ중소벤처기업부ㆍ캠코ㆍ신복위ㆍ신정원ㆍ소진공 관계자가 참석하는 새출발기금 재기지원자 간담회를 개최한다.

 

* (희망리턴패키지) 특화취업, 재창업 교육 프로그램 수료생 및 수강생

 

이날 간담회에서는 새출발기금 채무조정 후 재기를 준비 중인 소상공인ㆍ자영업자의 교육 수강 후기 및 취업ㆍ재창업 재기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제안 사항을 청취하고 관계기관 간 논의를 통해 개선사항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어서 8월 5일(화) 캠코 본사가 위치한 부산국제금융센터(BIFC)(부산광역시 남구 소재)에서 부산지역 소상공인 20명을 초청해 금융위원회ㆍ캠코ㆍ신복위ㆍ신정원 관계자가 참석하는 ‘부산지역 소상공인 오픈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날 간담회에는 금융기관 대출을 연체 중이거나 연체 위기에 처하신 소상공인ㆍ자영업자, 새출발기금 등 채무조정을 경험한 소상공인ㆍ자영업자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새출발기금 홈페이지(새출발기금.kr) 및 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www.ccrs.or.kr)를 통해 신청ㆍ접수 받을 예정이다.

 

신청 기간은 7월 18일(금)부터 7월 30일(수)까지이며, 보다 자세한 신청 관련 사항은 새출발기금 홈페이지(새출발기금.kr) 및 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www.ccr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달 동안 ‘새출발기금 집중 의견수렴 기간’을 운영하여 새출발기금ㆍ 신용회복위원회 상담사로 구성된 정책제안 TF 가동, 새출발기금 홈페이지 내 온라인 게시판 운영(7.18~8.17) 등을 통해 제도개선 사항을 추가 발굴ㆍ점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확인된 현장애로 사항은 지체 없이 해결하고, 제도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9월 중에 개선ㆍ시행할 방침이다.

 

정정훈 캠코 사장은 “이번 릴레이 간담회를 통해 소상공인ㆍ자영업자 분들의 현장 목소리를 귀담아 듣고, 새출발기금 운영기관으로서 채무조정 이용자 입장에서 소상공인ㆍ자영업자분들이 정책 효과를 체감하실 수 있도록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새출발기금은 ’25.6월 말까지 소상공인ㆍ자영업자 136,915명(신청 채무액 220,875억 원)의 채무조정 신청을 접수받았다. 이 중 매입형 채무조정은 37,950명(채무원금 3조 3,988억 원)이 약정을 체결하였고 평균 원금 감면율은 약 70%이며, 중개형 채무조정은 41,619명(채무액 3조 1,073억원)이 채무조정을 확정하였고 평균 이자율 인하폭은 약 4.8%p이다.

첨부파일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