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민에 안정을,
기업에 활력을,
국가자산에 가치를
더하는 리딩플랫폼

사이트맵
인스타그램으로 이동 블로그로 이동 웹진으로 이동 유튜브 아이콘

보도자료

보도자료 게시판 내용 보기

공공누리 제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금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유형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캠코, 「2025년 기업구조혁신포럼」 성료 상세보기
제목 캠코, 「2025년 기업구조혁신포럼」 성료
담당부서 기업지원총괄처
등록일 2025-11-21 조회수 17

- 트럼프 2.0시대 관세정책 등을 주제로 급변하는 환경과 산업 영향 분석 -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정정훈)와 한국성장금융(사장 허성무)이 후원하고 한국증권학회(회장 전진규)가 주관하는「2025년 기업구조혁신포럼」이 11월 20일(목) 캠코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서울시 강남구)에서 성료했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국내 산업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전략 및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장보성 자본시장연구원 거시금융실장은 ‘트럼프2.0 시대 무역정책의 거시경제 및 산업영향’을 주제로 트럼프정부의 관세정책과 이에 따른 불확실성의 위험, 국내 산업 및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서, 두 번째 발제자인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 통상정책에 따른 한국 자동차산업 영향’을 주제로 미국의 고관세 정책이 한국 자동차 산업의 수출 및 부품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들의 대응 전략·시사점에 대해 발표했다.

각 주제별 발표 후에는 오지열 성균관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의 진행아래 분야별 전문가와 포럼참석자간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뤄졌다.

이종국 캠코 기업지원부문 총괄이사는 “미국발 통상 리스크 등 경제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선제적인 기업지원이 중요하다”며, “캠코는 앞으로도 자본시장 중심의 상시적 기업구조조정이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캠코는 미(美) 관세조치 등에 따라 경영악화가 우려되는 수출기반 주력산업의 사업재편, 재무구조개선 등 구조조정 수요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 약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 조성에 나섰다.

첨부파일

위로 이동